• Tistory
    • 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Carousel 01
Carousel 02
Previous Next

'Computer/Windows'에 해당되는 글 24건

  • 2022.04.11 프린터 용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자
  • 2022.02.07 작업표시줄 미리보기를 리스트로 변경하자
  • 2021.01.27 창 흔들어 최소화 기능 끄기
  • 2020.08.11 CMD의 테마를 바꿔보자 (콘솔 색 구성 변경)
  • 2020.02.07 엑셀 작업 중 프리징을 해결하자
  • 2019.12.13 windows 10 에서 자동 업데이트 및 재부팅을 방지하자
  • 2019.06.17 크롬에서 우클릭 사용금지 해제하기 (추가설치 없음) (5)
  • 2019.05.29 공유폴더 접근이 불가할 경우 해결방법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문제)
  • 2017.03.08 windows error message 별 주 원인 정리
  • 2017.03.06 무선랜 연결이 자꾸 끊어질 경우 대응방법(ipTime A2000UA-4dBi)
  • 2016.08.29 windows 영구적으로 관리자 권한 획득하기
  • 2016.07.21 MS PowerPoint 테마를 기본테마에 추가하자.
  • 2016.07.14 파워포인트 2013 영어단어의 끝글자가 삭제되는 버그 해결방법 (3)
  • 2015.08.18 Outlook 에서 첨부파일이 안보이거나 받지못할경우. 액세스 문제 해결방법
  • 2014.09.22 윈도우8.1 파일 삭제시 확인창 띄우기
  • 2014.09.20 윈도우 8.1 탐색기(내PC)에 자리잡은 라이브러리 폴더를 삭제하자.
  • 2014.07.28 [Microsoft Excel] 자주 사용되는 함수 모음
  • 2014.02.21 윈도우7 에서 윈도우 xp 의 빠른실행 기능을 이용하자
  • 2013.10.26 노트북을 무선 AP 로 만드는 방법!
  • 2013.10.25 SVS13A26PK/B 윈도우7 다운그레이드 적용법

프린터 용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자

Computer/Windows 2022. 4. 11. 11:07




프린터를 사용하다 보면 용지가 충분한데도 용지없음 상태로 인쇄가 불가능 할 때가 있다

 

이럴 경우 해결을 위해 메모

 


1. 컴퓨터관리 - 서비스 및 응용프로그램 - 서비스 - Print Spooler

2. 서비스 중지 - 재시작

 

위 과정을 통해 프린터 상태를 업데이트 할 수 있고 이후 정상적으로 출력이 가능 해 진다.

저작자표시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린터 용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자  (0) 2022.04.11
작업표시줄 미리보기를 리스트로 변경하자  (0) 2022.02.07
창 흔들어 최소화 기능 끄기  (0) 2021.01.27
CMD의 테마를 바꿔보자 (콘솔 색 구성 변경)  (0) 2020.08.11
엑셀 작업 중 프리징을 해결하자  (0) 2020.02.07
windows 10 에서 자동 업데이트 및 재부팅을 방지하자  (0) 2019.12.13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작업표시줄 미리보기를 리스트로 변경하자

Computer/Windows 2022. 2. 7. 13:47




작업표시줄에 있는 프로그램이 몇개 되지 않을때는 마우스를 올리면 미리보기 화면이 뜨게 된다

 

개인적으로는 이 미리보기 화면이 크기도 작아서 눈에 잘 들어오지도 않을 뿐더러

코딩을 위한 IDE를 여러개 띄운 경우에는 미리보기 화면은 의미가 없다 

차라리 리스트 형태로 타이틀 정보가 더 길게 나오는게 편한 경우가 많더라 

 

그래서 프로그램이 몇개 떠 있지 않은 경우에도 리스트로 출력되도록 변경 해 보자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윈도우+R -> regedit)

2.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Taskband 로 이동

3. 새로만들기 -> DWROD 값 (이름 : NumThumbnails / 값 : 0 (dex))

4. reboot

 

재부팅 후 창들이 리스트 형태로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작자표시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린터 용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자  (0) 2022.04.11
작업표시줄 미리보기를 리스트로 변경하자  (0) 2022.02.07
창 흔들어 최소화 기능 끄기  (0) 2021.01.27
CMD의 테마를 바꿔보자 (콘솔 색 구성 변경)  (0) 2020.08.11
엑셀 작업 중 프리징을 해결하자  (0) 2020.02.07
windows 10 에서 자동 업데이트 및 재부팅을 방지하자  (0) 2019.12.13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창 흔들어 최소화 기능 끄기

Computer/Windows 2021. 1. 27. 06:43




windows 기능 중 창을 클릭한 채로 흔들어주면 모든 창이 최소화되는 기능이 있다.

이는 win + d 와 같은 기능으로 바로 바탕화면으로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다..

 

다만 나는 거의 쓸일이 없는데 창 위치를 조절하다 한 번씩 띄워놓은 모든 창이

내려가 버려서 다시 올려야 하는 귀찮은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그래서 이 기능을 끄는 방법을 기록.

 


1. 실행(win+r) 창에서 gpedit.msc 를 입력하여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켠다.

 

2., 왼쪽 로컨 컴퓨터 정책 트리에서 사용자구성 - 관리 템플릿 - 바탕화면으로 이동

 

3. 오른쪽 리스트에서 "Aero 흔들기 창 최소화 마우스 제스처 사용 안 함" 더블클릭

 

4. 기본값(구성되지 않음) 을 사용으로 바꿔주고 저장

 

 

여기까지 실행하면 흔들어 창 최소화는 더 이상 동작하지 않는다.

저작자표시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린터 용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자  (0) 2022.04.11
작업표시줄 미리보기를 리스트로 변경하자  (0) 2022.02.07
창 흔들어 최소화 기능 끄기  (0) 2021.01.27
CMD의 테마를 바꿔보자 (콘솔 색 구성 변경)  (0) 2020.08.11
엑셀 작업 중 프리징을 해결하자  (0) 2020.02.07
windows 10 에서 자동 업데이트 및 재부팅을 방지하자  (0) 2019.12.13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CMD의 테마를 바꿔보자 (콘솔 색 구성 변경)

Computer/Windows 2020. 8. 11. 09:08




windows의 cmd는 검정바탕에 흰글씨 구성으로 색 조합이 깔끔하기는 하지만 보기 편하거나

세련된 느낌은 아니다

 

이럴 경우 속성 또는 기본값에서 색 조합을 원하는 색으로 직접 바꿔줄수도 있지만

미리 정의된 색 스키마값을 이용하여 손쉽게 적용하는 방법이 있어서 정리.

 


변경을 위해서는 ms에서 제공하는 color tool을 이용한다.

https://github.com/microsoft/terminal/releases/tag/1904.29002

 

Release Color Tool April 2019 · microsoft/terminal

 

github.com

 

최신 release 버전을 다운받으면 기본적으로 다섯가지 스키마 (*.itermcolors) 파일이 schemes 폴더에 포함되어 있고

더 많은 스키마를 원하면 아래 git에서 추가로 다운로드 가능하다.

https://github.com/mbadolato/iTerm2-Color-Schemes/tree/master/schemes

 

mbadolato/iTerm2-Color-Schemes

Over 225 terminal color schemes/themes for iTerm/iTerm2. Includes ports to Terminal, Konsole, PuTTY, Xresources, XRDB, Remmina, Termite, XFCE, Tilda, FreeBSD VT, Terminator, Kitty, MobaXterm, LXTer...

github.com

 

사용방법은 cmd 상에서 colortool.exe [option] schemes 의 형태로 로 사용한다.

option에 -b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기본값까지 일괄 변경하여 모든 콘솔 환경에 적용된다.

 

 

MS 공식문서 : https://devblogs.microsoft.com/commandline/introducing-the-windows-console-colortool/

저작자표시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표시줄 미리보기를 리스트로 변경하자  (0) 2022.02.07
창 흔들어 최소화 기능 끄기  (0) 2021.01.27
CMD의 테마를 바꿔보자 (콘솔 색 구성 변경)  (0) 2020.08.11
엑셀 작업 중 프리징을 해결하자  (0) 2020.02.07
windows 10 에서 자동 업데이트 및 재부팅을 방지하자  (0) 2019.12.13
크롬에서 우클릭 사용금지 해제하기 (추가설치 없음)  (5) 2019.06.17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엑셀 작업 중 프리징을 해결하자

Computer/Windows 2020. 2. 7. 16:27




엑셀 작업을 하던 중 다중 셀을 선택하고 복사/잘라내기 등의 작업을 하려하면 

갑자기 엑셀 자체가 먹통이 되고 아무것도 안눌리는 현상이 가끔 발생.

 

엑셀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기능은 잘 동작하니 이거슨 엑셀의 문제일수밖에..

 

이럴 경우 하드웨어 가속을 사용하는것이 문제의 원인 중 하나일수 있다 하니 일단 끄자!

 


파일 - 옵션 - 고급 - 표시 - "하드웨어 그래픽 가속 사용 안 함" 활성화 - 설정 후 엑셀 재시작

 


본인의 경우 이 방법을 적용 후 실제로 프리징 현상이 없어졌다!

저작자표시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 흔들어 최소화 기능 끄기  (0) 2021.01.27
CMD의 테마를 바꿔보자 (콘솔 색 구성 변경)  (0) 2020.08.11
엑셀 작업 중 프리징을 해결하자  (0) 2020.02.07
windows 10 에서 자동 업데이트 및 재부팅을 방지하자  (0) 2019.12.13
크롬에서 우클릭 사용금지 해제하기 (추가설치 없음)  (5) 2019.06.17
공유폴더 접근이 불가할 경우 해결방법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문제)  (0) 2019.05.29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windows 10 에서 자동 업데이트 및 재부팅을 방지하자

Computer/Windows 2019. 12. 13. 09:14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여러가지 이유로 컴퓨터를 안끄고 두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한번씩 아침에 보면 바탕화면만이 나를 반겨주는 경우가 있다.

 

간밤에 지혼자 업데이트 하고 재부팅해버린 그런경우.. 

 

뭔가 작업중이거나 켜둔 상태에서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몹시 짜증나니 이런 상황을 미리 예방하자

 


  1. wnd+R (실행) 에서 gpedit.msc 
  2. 로컬 컴퓨터 정책 - 컴퓨터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업데이트 
  3. 사용안함 으로 설정 (혹은 사용 선택 후 아래 옵션에서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때 알림

보안도 좋지만 재부팅은 내가 하고싶을때 할 수 있도록 해주렴..

저작자표시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D의 테마를 바꿔보자 (콘솔 색 구성 변경)  (0) 2020.08.11
엑셀 작업 중 프리징을 해결하자  (0) 2020.02.07
windows 10 에서 자동 업데이트 및 재부팅을 방지하자  (0) 2019.12.13
크롬에서 우클릭 사용금지 해제하기 (추가설치 없음)  (5) 2019.06.17
공유폴더 접근이 불가할 경우 해결방법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문제)  (0) 2019.05.29
windows error message 별 주 원인 정리  (0) 2017.03.08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크롬에서 우클릭 사용금지 해제하기 (추가설치 없음)

Computer/Windows 2019. 6. 17. 14:15




인터넷을 하다 보면 우클릭 또는 텍스트 드래그 기능이 필요한 경우가 있지만 

마우스 우클릭 또는 본문 드래그 기능이 막혀 있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는 크롬의 확장 프로그램 중 하나인 피그툴박스를 이용했었으나 

마우스제스쳐 기능을 crxMouse로 갈아타면서 피그툴박스를 삭제하여 우클릭해제 기능을 못쓰게 되어서

새롭게 사용하는 방법 정리

 

1. F12를 눌러 개발자도구를 활성화 한다.

2. 우측 상단의 더보기 (점 세개 표시) - settings (F1)

2. 우측 상단의 톱니모양 설정 (201027. update)

3. 하단의 Debugger - Disable JavaScript 체크

 

여기 까지 하면 자바스크립트가 비활성화 되면서 우클릭 방지 기능이 비활성화 된다.

 

그럼 자유롭게.. 이후 기능 사용하자.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작업 중 프리징을 해결하자  (0) 2020.02.07
windows 10 에서 자동 업데이트 및 재부팅을 방지하자  (0) 2019.12.13
크롬에서 우클릭 사용금지 해제하기 (추가설치 없음)  (5) 2019.06.17
공유폴더 접근이 불가할 경우 해결방법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문제)  (0) 2019.05.29
windows error message 별 주 원인 정리  (0) 2017.03.08
무선랜 연결이 자꾸 끊어질 경우 대응방법(ipTime A2000UA-4dBi)  (0) 2017.03.06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Tag 마우스, 무설치, 우클릭, 크롬, 해제
트랙백 0개, 댓글 5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 그렇게 한 후 저장하려면 restore default and reload를 누르나요? 2020.02.05 17:34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그랬더니 다시 똑같이 disable javascript가 체크가 안되어 있네요. 이 상태를 유지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출처: https://jangjy.tistory.com/328 [살다보니..]

    • 12 2020.02.21 10:42  댓글주소  수정/삭제

      영어 그대로 해석해보면

      기본값 복원 및 다시 로드

      설정값을 초기화한다는말인데요;;

      상태를 유지하려면 체크해두고 그냥 놔두시면유지됩니다 그런데 유지해두면 불편하실텐데요... 사진도 로딩안될테구요

    • 매직블럭 2020.02.26 12:48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 자바스크립트를 비활성화 하시면 사용에 불편이 있으실 것 같습니다. 필요하신 상황에만 체크하여 사용하시고 이후에는 종료 후 일반 모드로 다시 웹서핑을 하시는 것이 좋을것 같네요.

  • 지나가던 나그네 2020.05.03 15:5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작성자님 복받으실 겁니다. 감사합니다 ^^

  • 영화다시보기 2020.06.11 14:54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꿀팁 감사합니다

공유폴더 접근이 불가할 경우 해결방법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문제)

Computer/Windows 2019. 5. 29. 13:31




공유폴더 이용 할 경우 중 엑세스가 불가능 할 경우가 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 하나는 인증되지 않은 게스트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

 

이러한 문제는 윈도우즈 에듀케이션, 엔터프라이즈, 서버의 경우에서 발생한다고 하니 참고..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실행(windows+R) - gpedit.msc

2. 컴퓨터구성 - 관리템플릿 - 네트워크 - Lanman 워크스테이션

3.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 사용 -> 구성되지않음을 사용함으로 변경

 

여기까지 해 주면 정상적으로 공유폴더 접근이 가능 해 진다.

 

==============================================================

(위 방법과 같은 맥락이지만 시작이 다른 방법 하나 추가메모)

1. 윈도우+R
2. mmc
입력
3.
파일 > 스냅인 추가/제거 클릭 > 그룹 정책 개체 편집기 > 추가 클릭 > 마침 클릭
4.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네트워크 > Lanman 워크스테이션 >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 사용 > 사용 > 확인

 

==============================================================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 사용> 관련 정보

요구사항 : 

Windows Server, Windows 10 이상

 

설명 : 

이 정책 설정은 SMB 클라이언트에서 SMB 서버에 대한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 정책 설정을 사용하거나 구성하지 않으면 SMB 클라이언트는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을 허용합니다.

이 정책 설정을 사용하지 않으면 SMB 클라이언트는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을 거부합니다.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은 파일 서버에서 공유 폴더에 대한 인증되지 않은 액세스를 허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은 파일 서버 역할을 하는 소비자 NAS(네트워크 연결 저장소)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Windows 파일 서버는 인증을 요구하며 기본적으로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은 인증되지 않으므로 SMB 서명 및 SMB 암호화와 같은 중요한 보안 기능이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됩니다. 따라서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을 허용하는 클라이언트는 다양한 메시지 가로채기(man-in-the-middle) 공격에 취약하게 되어, 데이터 손실 및 데이터 손상이 발생하고 맬웨어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을 사용하여 파일 서버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는 네트워크상의 누구든지 액세스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고 인증된 액세스를 요구하도록 파일 서버를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10 에서 자동 업데이트 및 재부팅을 방지하자  (0) 2019.12.13
크롬에서 우클릭 사용금지 해제하기 (추가설치 없음)  (5) 2019.06.17
공유폴더 접근이 불가할 경우 해결방법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문제)  (0) 2019.05.29
windows error message 별 주 원인 정리  (0) 2017.03.08
무선랜 연결이 자꾸 끊어질 경우 대응방법(ipTime A2000UA-4dBi)  (0) 2017.03.06
windows 영구적으로 관리자 권한 획득하기  (0) 2016.08.29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windows error message 별 주 원인 정리

Computer/Windows 2017. 3. 8. 09:26




윈도우 사용중 에러메세지가 발생 할 경우가 종종있다.


해당 에러 메세지의 주 원인이 뭔지 알면 해결이 한결 빨라질테지.


에러메세지의 주 발생 원인을 정리


=====================================================================


0x00000001: APC_INDEX_MISMATCH 
0x00000002: DEVICE_QUEUE_NOT_BUSY 
0x00000003: INVALID_AFFINITY_SET 
0x00000004: INVALID_DATA_ACCESS_TRAP 
0x00000005: INVALID_PROCESS_ATTACH_ATTEMPT 
0x00000006: INVALID_PROCESS_DETACH_ATTEMPT 
0x00000007: INVALID_SOFTWARE_INTERRUPT 
0x00000008: IRQL_NOT_DISPATCH_LEVEL 
0x00000009: IRQL_NOT_GREATER_OR_EQUAL 
0x0000000A: IRQL_NOT_LESS_OR_EQUAL 
0x0000000B: NO_EXCEPTION_HANDLING_SUPPORT 
0x0000000C: MAXIMUM_WAIT_OBJECTS_EXCEEDED 
0x0000000D: MUTEX_LEVEL_NUMBER_VIOLATION 
0x0000000E: NO_USER_MODE_CONTEXT 
0x0000000F: SPIN_LOCK_ALREADY_OWNED 
0x00000010: SPIN_LOCK_NOT_OWNED 
0x00000011: THREAD_NOT_MUTEX_OWNER 
0x00000012: TRAP_CAUSE_UNKNOWN 
0x00000013: EMPTY_THREAD_REAPER_LIST 
0x00000014: CREATE_DELETE_LOCK_NOT_LOCKED 
0x00000015: LAST_CHANCE_CALLED_FROM_KMODE 
0x00000016: CID_HANDLE_CREATION 
0x00000017: CID_HANDLE_DELETION 
0x00000018: REFERENCE_BY_POINTER 
0x00000019: BAD_POOL_HEADER 
0x0000001A: MEMORY_MANAGEMENT 
0x0000001B: PFN_SHARE_COUNT 
0x0000001C: PFN_REFERENCE_COUNT 
0x0000001D: NO_SPIN_LOCK_AVAILABLE 
0x0000001E: KMODE_EXCEPTION_NOT_HANDLED 
0x0000001F: SHARED_RESOURCE_CONV_ERROR 
0x00000020: KERNEL_APC_PENDING_DURING_EXIT 
0x00000021: QUOTA_UNDERFLOW 
0x00000022: FILE_SYSTEM 
0x00000023: FAT_FILE_SYSTEM 
0x00000024: NTFS_FILE_SYSTEM 
0x00000025: NPFS_FILE_SYSTEM 
0x00000026: CDFS_FILE_SYSTEM 
0x00000027: RDR_FILE_SYSTEM 
0x00000028: CORRUPT_ACCESS_TOKEN 
0x00000029: SECURITY_SYSTEM 
0x0000002A: INCONSISTENT_IRP 
0x0000002B: PANIC_STACK_SWITCH 
0x0000002C: PORT_DRIVER_INTERNAL 
0x0000002D: SCSI_DISK_DRIVER_INTERNAL 
0x0000002E: DATA_BUS_ERROR 
0x0000002F: INSTRUCTION_BUS_ERROR 
0x00000030: SET_OF_INVALID_CONTEXT 
0x00000031: PHASE0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32: PHASE1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33: UNEXPECTED_INITIALIZATION_CALL 
0x00000034: CACHE_MANAGER 
0x00000035: NO_MORE_IRP_STACK_LOCATIONS 
0x00000036: DEVICE_REFERENCE_COUNT_NOT_ZERO 
0x00000037: FLOPPY_INTERNAL_ERROR 
0x00000038: SERIAL_DRIVER_INTERNAL 
0x00000039: SYSTEM_EXIT_OWNED_MUTEX 
0x0000003A: SYSTEM_UNWIND_PREVIOUS_USER 
0x0000003B: SYSTEM_SERVICE_EXCEPTION 
0x0000003C: INTERRUPT_UNWIND_ATTEMPTED 
0x0000003D: INTERRUPT_EXCEPTION_NOT_HANDLED 
0x0000003E: MULTIPROCESSOR_CONFIGURATION_NOT_SUPPORTED 
0x0000003F: NO_MORE_SYSTEM_PTES 
0x00000040: TARGET_MDL_TOO_SMALL 
0x00000041: MUST_SUCCEED_POOL_EMPTY 
0x00000042: ATDISK_DRIVER_INTERNAL 
0x00000043: NO_SUCH_PARTITION 
0x00000044: MULTIPLE_IRP_COMPLETE_REQUESTS 
0x00000045: INSUFFICIENT_SYSTEM_MAP_REGS 
0x00000046: DEREF_UNKNOWN_LOGON_SESSION 
0x00000047: REF_UNKNOWN_LOGON_SESSION 
0x00000048: CANCEL_STATE_IN_COMPLETED_IRP 
0x00000049: PAGE_FAULT_WITH_INTERRUPTS_OFF 
0x0000004A: IRQL_GT_ZERO_AT_SYSTEM_SERVICE 
0x0000004B: STREAMS_INTERNAL_ERROR 
0x0000004C: FATAL_UNHANDLED_HARD_ERROR 
0x0000004D: NO_PAGES_AVAILABLE 
0x0000004E: PFN_LIST_CORRUPT 
0x0000004F: NDIS_INTERNAL_ERROR 
0x00000050: PAGE_FAULT_IN_NONPAGED_AREA 
0x00000051: REGISTRY_ERROR 
0x00000052: MAILSLOT_FILE_SYSTEM 
0x00000053: NO_BOOT_DEVICE 
0x00000054: LM_SERVER_INTERNAL_ERROR 
0x00000055: DATA_COHERENCY_EXCEPTION 
0x00000056: INSTRUCTION_COHERENCY_EXCEPTION 
0x00000057: XNS_INTERNAL_ERROR 
0x00000058: FTDISK_INTERNAL_ERROR 
0x00000059: PINBALL_FILE_SYSTEM
0x0000005A: CRITICAL_SERVICE_FAILED 
0x0000005B: SET_ENV_VAR_FAILED 
0x0000005C: HAL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5D: UNSUPPORTED_PROCESSOR 
0x0000005E: OBJECT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5F: SECURITY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0: PROCESS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1: HAL1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2: OBJECT1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3: SECURITY1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4: SYMBOLIC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5: MEMORY1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6: CACHE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7: CONFIG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8: FILE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9: IO1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A: LPC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B: PROCESS1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C: REFMON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D: SESSION1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E: SESSION2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6F: SESSION3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70: SESSION4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71: SESSION5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72: ASSIGN_DRIVE_LETTERS_FAILED 
0x00000073: CONFIG_LIST_FAILED 
0x00000074: BAD_SYSTEM_CONFIG_INFO 
0x00000075: CANNOT_WRITE_CONFIGURATION 
0x00000076: PROCESS_HAS_LOCKED_PAGES 
0x00000077: KERNEL_STACK_INPAGE_ERROR 
0x00000078: PHASE0_EXCEPTION 
0x00000079: MISMATCHED_HAL 
0x0000007A: KERNEL_DATA_INPAGE_ERROR 
0x0000007B: INACCESSIBLE_BOOT_DEVICE 
0x0000007C: BUGCODE_NDIS_DRIVER 
0x0000007D: INSTALL_MORE_MEMORY 
0x0000007E: SPECIFIED_MODULE_NOT_FOUND 
0x0000007F: UNEXPECTED_KERNEL_MODE_TRAP 
0x00000080: NMI_HARDWARE_FAILURE 
0x00000081: SPIN_LOCK_INIT_FAILURE 
0x00000082: DFS_FILE_SYSTEM 
0x00000085: SETUP_FAILURE 
0x0000008B: MBR_CHECKSUM_MISMATCH 
0x0000008E: KERNEL_MODE_EXCEPTION_NOT_HANDLED 
0x0000008F: PP0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90: PP1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92: UP_DRIVER_ON_MP_SYSTEM 
0x00000093: INVALID_KERNEL_HANDLE 
0x00000094: KERNEL_STACK_LOCKED_AT_EXIT 
0x00000096: INVALID_WORK_QUEUE_ITEM 
0x00000097: BOUND_IMAGE_UNSUPPORTED 
0x00000098: END_OF_NT_EVAL!UATION_PERIOD 
0x00000099: INVALID_REGION_OR_SEGMENT 
0x0000009A: SYSTEM_LICENSE_VIOLATION 
0x0000009B: UDFS_FILE_SYSTEM 
0x0000009C: MACHINE_CHECK_EXCEPTION 
0x0000009F: DRIVER_POWER_STATE_FAILURE 
0x000000A0: INTERNAL_POWER_ERROR 
0x000000A1: PCI_BUS_DRIVER_INTERNAL 
0x000000A2: MEMORY_IMAGE_CURRUPT 
0x000000A3: ACPI_DRIVER_INTERNAL 
0x000000A4: CNSS_FILE_SYSTEM_FILTER 
0x000000A5: ACPI_BIOS_ERROR 
0x000000A7: BAD_EXHANDLE 
0x000000AB: SESSION_HAS_VALID_POOL_ON_EXIT 
0x000000AC: HAL_MEMORY_ALLOCATION 
0x000000B4: VIDEO_DRIVER_INIT_FAILURE 
0x000000B8: ATTEMPTED_SWITCH_FROM_DPC 
0x000000B9: CHIPSET_DETECTED_ERROR 
0x000000BA: SESSION_HAS_VALID_VIEWS_ON_EXIT 
0x000000BB: NETWORK_BOOT_INITIALIZATION_FAILED 
0x000000BC: NETWORK_BOOT_DUPLICATE_ADDRESS 
0x000000BE: ATTEMPTED_WRITE_TO_READONLY_MEMORY 
0x000000BF: MUTEX_ALREADY_OWNED 
0x000000C1: SPECIAL_POOL_DETECTED_MEMORY_CORRUPTION 
0x000000C2: BAD_POOL_CALLER 
0x000000C4: DRIVER_VERIFIER_DETECTED_VIOLATION 
0x000000C5: DRIVER_CORRUPTED_EXPOOL 
0x000000C6: DRIVER_CAUGHT_MODIFYING_FREED_POOL 
0x000000C7: TIMER_OR_DPC_INVALID 
0x000000C8: IRQL_UNEXPECTED_VALUE 
0x000000C9: DRIVER_VERIFIER_IOMANAGER_VIOLATION 
0x000000CA: PNP_DETECTED_FATAL_ERROR 
0x000000CB: DRIVER_LEFT_LOCKED_PAGES_IN_PROCESS 
0x000000CC: PAGE_FAULT_IN_FREED_SPECIAL_POOL 
0x000000CD: PAGE_FAULT_BEYOND_END_OF_ALLOCATION 
0x000000CE: DRIVER_UNLOADED_WITHOUT_CANCELLING_PENDING_OPERATIONS 
0x000000CF: TERMINAL_SERVER_DRIVER_MADE_INCORRECT_MEMORY_REFERENCE 
0x000000D0: DRIVER_CORRUPTED_MMPOOL 
0x000000D1: DRIVER_IRQL_NOT_LESS_OR_EQUAL 
0x000000D2: BUGCODE_ID_DRIVER 
0x000000D3: DRIVER_PORTION_MUST_BE_NONPAGED 
0x000000D4: SYSTEM_SCAN_AT_RAISED_IRQL_CAUGHT_IMPROPER_DRIVER_UNLOAD 
0x000000D5: DRIVER_PAGE_FAULT_IN_FREED_SPECIAL_POOL 
0x000000D6: DRIVER_PAGE_FAULT_BEYOND_END_OF_ALLOCATION 
0x000000D7: DRIVER_UNMAPPING_INVALID_VIEW 
0x000000D8: DRIVER_USED_EXCESSIVE_PTES 
0x000000E3: RESOURCE_NOT_OWNED 
0x000000EA: THREAD_STUCK_IN_DEVICE_DRIVER 
0x000000ED: UNMOUNTABLE_BOOT_VOLUME 
0x000000F2: HARDWARE_INTERRUPT_STORM 
0xC000009A: STATUS_INSUFFICIENT_RESOURCES 
0xC0000135: UNABLE TO LOCATE DLL 
0xC0000142: DLL Initialization Failure 
0xC0000218: UNKNOWN_HARD_ERROR 
0xC000021A: STATUS_SYSTEM_PROCESS_TERMINATED 
0xC0000221: STATUS_IMAGE_CHECKSUM_MISMATCH 
0xC0000244 
0xC000026C 

[출처] STOP오류:0×C0000218 UNKNOWN_HARD_ERROR 해결방법|작성자 진진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에서 우클릭 사용금지 해제하기 (추가설치 없음)  (5) 2019.06.17
공유폴더 접근이 불가할 경우 해결방법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문제)  (0) 2019.05.29
windows error message 별 주 원인 정리  (0) 2017.03.08
무선랜 연결이 자꾸 끊어질 경우 대응방법(ipTime A2000UA-4dBi)  (0) 2017.03.06
windows 영구적으로 관리자 권한 획득하기  (0) 2016.08.29
MS PowerPoint 테마를 기본테마에 추가하자.  (0) 2016.07.21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무선랜 연결이 자꾸 끊어질 경우 대응방법(ipTime A2000UA-4dBi)

Computer/Windows 2017. 3. 6. 00:36




컴퓨터 위치를 옮기면서 유선랜 환경을 구축할 수 없어서 무선랜으로 네트워크 환경을 셋팅.


사용한 무선랜 모델은 ipTime의 A2000UA-4dBi 제품이다.


뭐 속도도 생각한거보다 잘 나오고 괜찮은데 간헐적으로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


여러 옵션들 바꿔보고 공유기 설정도 바꿔보고... 그떄마다 이제 잘 되는건가.. 싶다가 어느새 또 끊김현상 발생..


설정 수정으로는 답이 없고 드라이버 업데이트 하면 끊김현상이 없다는 내용을 확인하고 기록




01. 드라이버 다운로드 (http://www.station-drivers.com/index.php?option=com_remository&Itemid=352&func=fileinfo&id=2478&lang=en)

02. 압축해제 
03. 장치 관리자 > 네트워크 어댑터 >  무선랜 어댑터 > 속성
04. 드라이버 탭에서 "드라이버 업데이트"
05. "컴퓨터에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찾아보기"
06. "컴퓨터의 장치 드라이버 목록에서 직접 선택"
07. "디스크 있음" 

08. "찾아보기"

09. 2번에서 압축을 풀어둔 폴더에서 본인 OS 폴더 내의 *.inf 파일 선택
10. "호환 가능한 하드웨어 표시" 체크를 해제.
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 "Realtek 8812AU Wireless LAN 802.11ac USB NIC" 선택
12. 드라이버 업데이트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폴더 접근이 불가할 경우 해결방법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문제)  (0) 2019.05.29
windows error message 별 주 원인 정리  (0) 2017.03.08
무선랜 연결이 자꾸 끊어질 경우 대응방법(ipTime A2000UA-4dBi)  (0) 2017.03.06
windows 영구적으로 관리자 권한 획득하기  (0) 2016.08.29
MS PowerPoint 테마를 기본테마에 추가하자.  (0) 2016.07.21
파워포인트 2013 영어단어의 끝글자가 삭제되는 버그 해결방법  (3) 2016.07.14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windows 영구적으로 관리자 권한 획득하기

Computer/Windows 2016. 8. 29. 13:43




외장하드를 windows / ubuntu 왔다갔다 사용하다 보면 가끔씩 소유권 문제인지

윈도우에서 파일 쓰기를 하면 권한이 없다면서 실행이 불가능 한 경우가 발생했다.


소유권 변경도 해보고 포멧도 해보고 이것저것 시도 해 본 끝에 성공한 해결 방법.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windows+R --> regedit --> enter)


2. 아래 경로로 이동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System


3. EnableLUA 항목의 값데이터를 0으로 변경


4. 시스템 재시작


위 방법을 통해 값을 변경 해 주고 재부팅 하니 외장하드의 쓰기 권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다음을 위한 메모..



16. 08. 30. 추가

위 방법을 사용하면 윈도우 기본 앱을 사용이 불가능 해 진다.

뭐 예를들면 계산기라던가... 


이럴 경우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 변경' 을 실행 한 뒤 

보안수준을 한등급 이상 올려주면 정상적으로 앱 사용이 가능해진다.

물론 외장하드 쓰기권한도 유지 되는 듯 하다.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error message 별 주 원인 정리  (0) 2017.03.08
무선랜 연결이 자꾸 끊어질 경우 대응방법(ipTime A2000UA-4dBi)  (0) 2017.03.06
windows 영구적으로 관리자 권한 획득하기  (0) 2016.08.29
MS PowerPoint 테마를 기본테마에 추가하자.  (0) 2016.07.21
파워포인트 2013 영어단어의 끝글자가 삭제되는 버그 해결방법  (3) 2016.07.14
Outlook 에서 첨부파일이 안보이거나 받지못할경우. 액세스 문제 해결방법  (0) 2015.08.18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MS PowerPoint 테마를 기본테마에 추가하자.

Computer/Windows 2016. 7. 21. 11:00




테마 템플릿을 만들어 놓고 매번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는 매번 디자인 - 테마 - 테마찾아보기 로 파일 탐색기를 열고 거기서 테마파일을 선택했다.


매번 이렇게 하려니까 너무 귀찮은것..


기본테마에 추가되어 있으면 한번 클릭으로 설정 할 수도 있고 


기본 테마로 지정해두면 파워포인트를 켜면 자동으로 해당 테마가 적용되므로 편리하다.


적용방법은 간단하다


일반적으로 경로를 수정하지 않았다면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Document Themes 15\ (Office 2013 기준. 숫자는 버전에 따라 달라짐)


위 경로에 추가하고자 하는 테마를 복사 해 주면 된다.


이후 파워포인트를 껐다가 다시 켜보면 기본테마들 사이에 추가한 테마가 보일 것이다.


해당 테마를 우클릭한뒤 기본 테마로 지정하면 켤때마다 설정한 테마가 기본으로 적용 되니 참고.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선랜 연결이 자꾸 끊어질 경우 대응방법(ipTime A2000UA-4dBi)  (0) 2017.03.06
windows 영구적으로 관리자 권한 획득하기  (0) 2016.08.29
MS PowerPoint 테마를 기본테마에 추가하자.  (0) 2016.07.21
파워포인트 2013 영어단어의 끝글자가 삭제되는 버그 해결방법  (3) 2016.07.14
Outlook 에서 첨부파일이 안보이거나 받지못할경우. 액세스 문제 해결방법  (0) 2015.08.18
윈도우8.1 파일 삭제시 확인창 띄우기  (0) 2014.09.22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파워포인트 2013 영어단어의 끝글자가 삭제되는 버그 해결방법

Computer/Windows 2016. 7. 14. 16:32




파워포인트 2013을 사용중인데 영어단어와 한글이 붙어 있는경우 어느순간인가 영어단어의 마지막 글자가


삭제되어 버리는 버그가 발생하였다.


예를들면

"architecture에서 첫번째 ~~~ 어쩌고~~ " 이렇게 한참을 쓰다가 어느순간에 


"architectur에서 첫번째 ~~~ 어쩌고~~" 이와같이 영어단어의 마지막 글자가 지워져 버린다.


이러한 문제는 추천단어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버그라고 한다..


에유 버그가 싫으면 최신버전 써야겠... 지만 라이센스가 2013밖에 없으니.. 


여튼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언어 교정 – 자동 고침 옵션 – 자동 고침 – 자동으로 맞춤법 검사기의 추천 단어를 사용] 이부분의 체크를 해제하면 된단다.


아래 MS의 공식답변 에서 확인 가능하다.



==================================================

응답이 늦어서 대단히 죄송합니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본사에 건의하여 수정 요청을 한 상태입니다. 현재 해당 기능의 경우 PowerPoint의 "추천 단어"의 기능에 의해서 발생되는 문제로 확인되었습니다. 따라서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해당 기능은 종료하고 사용하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사용에 불편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1. Powerpoint 2013을 실행합니다.
  2. [파일 - 옵션]을 클릭합니다.
  3. [언어 교정 – 자동 고침 옵션 – 자동 고침 – 자동으로 맞춤법 검사기의 추천 단어를 사용]체크를 해제합니다.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영구적으로 관리자 권한 획득하기  (0) 2016.08.29
MS PowerPoint 테마를 기본테마에 추가하자.  (0) 2016.07.21
파워포인트 2013 영어단어의 끝글자가 삭제되는 버그 해결방법  (3) 2016.07.14
Outlook 에서 첨부파일이 안보이거나 받지못할경우. 액세스 문제 해결방법  (0) 2015.08.18
윈도우8.1 파일 삭제시 확인창 띄우기  (0) 2014.09.22
윈도우 8.1 탐색기(내PC)에 자리잡은 라이브러리 폴더를 삭제하자.  (0) 2014.09.20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3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 MCR302 2019.09.12 00:1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매번 이 문제로 고생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 2020 2020.02.03 21:1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2020년, 항상 업데이트되는 office 365에도 같은 버그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체 왜 글자가 짤리는지 이건 뭔가 싶었는데... 덕분에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 ku 2021.11.02 00:1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이 문제로 항상 고생했는데 감사합니다.

Outlook 에서 첨부파일이 안보이거나 받지못할경우. 액세스 문제 해결방법

Computer/Windows 2015. 8. 18. 10:07




Outlook 에서 첨부파일이 안보이거나 받지못할경우. 액세스 문제 해결방법


outlook 을 이용하다 보면 


"아웃룩 보안상 안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다음 첨부 파일에 액세스할 수 없도록 막았습니다."


라는 문구를 볼 경우가 있다. 필요한 파일을 받았음에도 확인을 못하게 한다니.. 이럴경우 해결방법.



1. window키 + R 버튼을 이용하여 레지스트리편집기 창을 실행시킨다.


2. 아래의 경로로 이동. 다만 중간에 XXX 로 표시 된 숫자는 MS Office 버전에 따라 다름. 아래 참고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Office\XXX\Outlook\Security


XXX : Office 2003 -> 10.0 / Office 2007 -> 12.0 / Office 2010 -> 14.0 / Office 2013 -> 15.0


3.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새로만들기 -> 문자열 값 생성


4. 이름을 "새 값#1" 에서 "level1remove"로 변경


5. level1remove의 값데이터에 허용 하고 싶은 확장자 명을 입력. 확장자 구분은 세미콜론을 이용 

( 예 : exe; tmp; zip )


6. outlook을 재시작 하면 입력 한 확장자는 첨부파일 액세스가 허용 된다.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 PowerPoint 테마를 기본테마에 추가하자.  (0) 2016.07.21
파워포인트 2013 영어단어의 끝글자가 삭제되는 버그 해결방법  (3) 2016.07.14
Outlook 에서 첨부파일이 안보이거나 받지못할경우. 액세스 문제 해결방법  (0) 2015.08.18
윈도우8.1 파일 삭제시 확인창 띄우기  (0) 2014.09.22
윈도우 8.1 탐색기(내PC)에 자리잡은 라이브러리 폴더를 삭제하자.  (0) 2014.09.20
[Microsoft Excel] 자주 사용되는 함수 모음  (0) 2014.07.28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윈도우8.1 파일 삭제시 확인창 띄우기

Computer/Windows 2014. 9. 22. 10:32






윈도우 8 버전으로 넘어오면서 파일 삭제시 이전처럼 확인창을 띄우지 않고

삭제를 누르는 순간 바로 지워져 버린다.


지워야 할 파일을 지우는 경우에는 작업이 한번 줄어들어 더 편리한 기능이긴 하지만

왠지 바로 지우기엔 찜찜하고 한번더 확인을 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도 있을것이다.( 나처럼.. )


이럴경우 7이전 버전처럼 파일 삭제시 확인창을 띄우도록 하는 방법이다.


휴지통아이콘을 마우스 우클릭 한후 속성으로 들어가 보자


휴지통 속성에 "삭제 확인 대화 상자 표시" 이부분의 체크가 해제되어 있을 것이다.


이부분을 체크 해주고 확인을 눌러 저장 해 주면!!


이전처럼 삭제 확인 대화상자가 뜨게 된다.


끝~~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워포인트 2013 영어단어의 끝글자가 삭제되는 버그 해결방법  (3) 2016.07.14
Outlook 에서 첨부파일이 안보이거나 받지못할경우. 액세스 문제 해결방법  (0) 2015.08.18
윈도우8.1 파일 삭제시 확인창 띄우기  (0) 2014.09.22
윈도우 8.1 탐색기(내PC)에 자리잡은 라이브러리 폴더를 삭제하자.  (0) 2014.09.20
[Microsoft Excel] 자주 사용되는 함수 모음  (0) 2014.07.28
윈도우7 에서 윈도우 xp 의 빠른실행 기능을 이용하자  (0) 2014.02.21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윈도우 8.1 탐색기(내PC)에 자리잡은 라이브러리 폴더를 삭제하자.

Computer/Windows 2014. 9. 20. 01:00






윈도우 8.1 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윈도우탐색이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저 이전버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위치의 라이브러리 폴더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니들이 있어야 할 위치는 저곳이 아니라고. 니들이 거기있으니까 불편하단 말이다..

하는 사람들 이라고 쓰고 나라고 읽는 그누군가를 위해. 쟤들을 없애는 방법을 기록.



쟤들은 레지스트리를 편집해서 지울 수 있다.


먼저 윈도우+R 또는 실행아이콘을 눌러 실행창을 열어준 뒤 regedit 이라 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켭니다.


이후


HKEY_LOCAL_MACHINE

SOFTWARE

Microsoft

Windows

CurrentVersion

Explorer

MyComputer

NameSpace

순으로 차례대로 폴더를 타고 내려 가 줍니다.

전체 경로는 다음과 같구..(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MyComputer\NameSpace )


여기서 DelegateFolders 를 제외한 나머지가 각각 저 라이브러리 폴더가 되겠다.

{1CF1260C-4DD0-4ebb-811F-33C572699FDE}     : 음악 폴더

{3ADD1653-EB32-4cb0-BBD7-DFA0ABB5ACCA}   : 사진 폴더

{374DE290-123F-4565-9164-39C4925E467B}       : 다운로드 폴더

{A0953C92-50DC-43bf-BE83-3742FED03C9C}      : 동영상 폴더
{A8CDFF1C-4878-43be-B5FD-F8091C1C60D0}     : 문서 폴더

{B4BFCC3A-DB2C-424C-B029-7FE99A87C641}     : 바탕화면 폴더


각각 저런 이름이니 필요없는 것만 지우던가 전체 삭제를 해 주면 된다.

근데 얘 윕도우즈 업데이트 하면 다시 생기는듯..? 


============ 14. 10. 13 추가 ==============


다른 pc에서 사용하거나 레지스트리편집기 다른위치 사용했는데 또 업데이트 되서 

다시찾아가기 귀찮고.. 매번 주소 또 확인해야되고.. 귀찮고 불편하더라..


레지스트리 파일로 만들어 두면 원클릭으로 해결되는구만.

레지스트리 파일 만들어서 올려두니 이놈 다운받아서 실행해주면 간단하다.



DeleteLibrary.reg


[출처] 윈도우8.1 내컴퓨터(내PC)속 라이브러리 폴더 삭제하는 방법 |작성자 저주의손s

[출처] 윈도우8.1 내컴퓨터(내PC)속 라이브러리 폴더 삭제하는 방법 |작성자 저주의손s )

[출처] 윈도우8.1 내컴퓨터(내PC)속 라이브러리 폴더 삭제하는 방법 |작성자 저주의손s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utlook 에서 첨부파일이 안보이거나 받지못할경우. 액세스 문제 해결방법  (0) 2015.08.18
윈도우8.1 파일 삭제시 확인창 띄우기  (0) 2014.09.22
윈도우 8.1 탐색기(내PC)에 자리잡은 라이브러리 폴더를 삭제하자.  (0) 2014.09.20
[Microsoft Excel] 자주 사용되는 함수 모음  (0) 2014.07.28
윈도우7 에서 윈도우 xp 의 빠른실행 기능을 이용하자  (0) 2014.02.21
노트북을 무선 AP 로 만드는 방법!  (0) 2013.10.26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Microsoft Excel] 자주 사용되는 함수 모음

Computer/Windows 2014. 7. 28. 13:00






얼마전 페이스북에 잘 정리된 엑셀 함수표가 있어서 스크랩.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8.1 파일 삭제시 확인창 띄우기  (0) 2014.09.22
윈도우 8.1 탐색기(내PC)에 자리잡은 라이브러리 폴더를 삭제하자.  (0) 2014.09.20
[Microsoft Excel] 자주 사용되는 함수 모음  (0) 2014.07.28
윈도우7 에서 윈도우 xp 의 빠른실행 기능을 이용하자  (0) 2014.02.21
노트북을 무선 AP 로 만드는 방법!  (0) 2013.10.26
SVS13A26PK/B 윈도우7 다운그레이드 적용법  (0) 2013.10.25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윈도우7 에서 윈도우 xp 의 빠른실행 기능을 이용하자

Computer/Windows 2014. 2. 21. 10:44




윈도우 xp 에서 윈도우 7 으로 넘어오면서 바뀐 내용중 하나가 시작표시줄의 빠른실행 기능이 없어 졌다느 것이다.


그와 비슷한 기능을 윈도우 7에서 시작표시줄에 그룹아이콘으로 수행하면서 기본 기능에서 제외 된 것이다.


유용하게 사용하던 유저들이 많을텐데 이 기능을 못쓰느냐 하면 그건 또 아니고 수동으로 추가 해 줄수가 있다.


먼저 시작표시줄을 마우스 우클릭 해서 메뉴를 열어주고 도구모음 - 새 도구모음 을 선택한다.




폴더 란에 다음과 같이 입력 해 준다.


%userprofile%\AppData\Roaming\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


이 경로가 IE 에서 지원하는 퀵런치 기능의 경로가 되고 여기 안에 있는 바로가기나 실행파일들이


빠른 실행에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즉 빠른실행에 추가 하고싶은 기능은 이폴더에 넣어주면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폴더를 추가 해주면 시작표시줄에 Quick Launch >> 이렇게 아름답지 않은 모습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 모습을 기존 XP 에서 사용하듯이 아이콘만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업표시줄의 잠금을 해제 해 줘야한다.


잠금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속성값 변경이 불가능 하기 떄문이다.



잠금을 해제 한 후에 다시 오른쪽버튼으로 Quick Launch 버튼을 눌러보면 아까 보이지 않던 텍스트표시 와 제목표시 란이


체크 된 상태로 보이게 된다.



이 두가지 항목을 체크 해제 해 주면 기존의 XP 와 동일한 모습의 빠른 실행 탭이 완성 된다.



위치를 변경하고 싶을때는 점선 세로바 를 잡고 이동 해주면 되고 이동 되는것이 싫을 경우 다시 작업표시줄 잠금을 체크 해주면 된다.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8.1 탐색기(내PC)에 자리잡은 라이브러리 폴더를 삭제하자.  (0) 2014.09.20
[Microsoft Excel] 자주 사용되는 함수 모음  (0) 2014.07.28
윈도우7 에서 윈도우 xp 의 빠른실행 기능을 이용하자  (0) 2014.02.21
노트북을 무선 AP 로 만드는 방법!  (0) 2013.10.26
SVS13A26PK/B 윈도우7 다운그레이드 적용법  (0) 2013.10.25
드라이브 숨기기 / 제거 / 복구  (0) 2013.10.18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Tag Computer Tip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노트북을 무선 AP 로 만드는 방법!

Computer/Windows 2013. 10. 26. 20:02




먼저 Windows 8의 명령 프롬포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바탕화면에서 윈도우 키 + X 를 누르면 관리자 권한의 명령프롬포트가 있습니다.)

1. 자신의 무선 네트워크 카드 혹은 USB가 Ad-hoc mod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netsh wlan show drivers

-> 호스트된 네트워크 지원  : 예
(여기서 '호스트된 네트워크 지원' 여부가 '아니오' 라고 되어있으면 안됨. 끝)


2.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포인트 생성

netsh wlan set hostednetwork mode=allow ssid=포인트 이름 key=암호

 

3. 생성 후 서비스 시작

netsh wlan start hostednetwork

 

4.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을 선택하면 "네트워크 연결" 창에 "로컬영역*16"처럼 내가 생성한 포인트이름의 네트워크가 보임

 

5. 유선인터넷을 방금 생성한 무선AP와 공유를 해야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

->"네트워크 연결" 에서 현재 사용중인 유선인터넷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속성 -> 공유 ->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허용 체크 -> 홈 네트워킹 연결: 방금 생성한 "로컬영역*16" 선택 -> 그 아래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공유 인터넷 연결을 제어하거나 중지시킬 수 있도록 허용 체크 해제 -> 확인

 

6. Wi-Fi Adhoc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아래 명령어로 중지

netsh wlan stop hostednetwork

 

컴퓨터가 꺼지면 Wi-Fi Adhoc훅도 종료되므로 부팅시 마다 아래 명령어로 실행시켜야 한다.

netsh wlan start hostednetwork

[출처] WIN8에서 노트북 무선AP 만들기(Wi-Fi Adhoc)|작성자 캬캬캬캬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crosoft Excel] 자주 사용되는 함수 모음  (0) 2014.07.28
윈도우7 에서 윈도우 xp 의 빠른실행 기능을 이용하자  (0) 2014.02.21
노트북을 무선 AP 로 만드는 방법!  (0) 2013.10.26
SVS13A26PK/B 윈도우7 다운그레이드 적용법  (0) 2013.10.25
드라이브 숨기기 / 제거 / 복구  (0) 2013.10.18
빠른 부팅을 위한 바이오스 설정법  (0) 2013.10.18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Tag Computer Tip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SVS13A26PK/B 윈도우7 다운그레이드 적용법

Computer/Windows 2013. 10. 25. 09:10







 

이번에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 올라온 Windows7용 드라이버 및 유틸리티 목록입니다.

개인적인 소견이지만 여러차례 포멧과 설치를 반복하면서 가장 나은 방향을 찾아보았습니다.

드라이버중 1~8번까지는 홈페이지의 파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3PD(http://cafe.naver.com/3dpchip) 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 찾기와 다운로드를 이용하시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이유는 최신드라이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소니 특유의 다른 드라이버&유틸과의 비호완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서 소니에서 수정을 가하지 않은 오리지날 드라이버를 사용하시는 편이 좋지 않겠는가 생각합니다.

 

1~3번, 6번은 3DP에서(미리 받아두시는 것이 좋겠지요), 4번과 5번은 굳이 필요하신 분만 홈페이지에서 받아 설치하세요. 4번과 5번은 소니가 자랑하는 xLOUD등의 음질에 대한 것입니다. (설치를 하지 않아도 나중에 보면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적용이 정확하게 되는 건지는 몰라도.)

7번과 8번은 생략!(SATA3지원 아님)

그래픽드라이버를 3DP를 통해 받으실 때에는 인텔 내장 그래픽 드라이버를 먼저 설치하셔야 합니다. 엔비디아 것을 먼저 설치하려고 할 경우, 인텔것을 먼저 설치하라는 경고문구와 함께 종료됩니다.

 

9번은 설치하지 않으면 장치관리자에 'PCI 단순 통신 컨트롤러'에 오류메시지가 있습니다. 9번은 홈페이지 파일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10번은 메모리카드 리더기로서 결코 사용하실 일이 없으신 분들은 설치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카드를 삽입하지 않았는데도 내 컴퓨터에 드라이버(E:, F:등등)로 떠있는 불상사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3DP에서 받으실것을 추천합니다.

11번은 USB3.0 드라이버입니다. 3DP에서 받으세요.

12번은 무선인터넷 드라이버입니다. (다른 컴퓨터가 없으시다면 미리 받아두셔야겠죠). 만약 집에서 무선인터넷이 안되시는 분이라면 6번을 홈페이지 파일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13~15번은 설치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블루투스도 Windows7 설치시 그냥 잡힙니다.(SVS13모델이 아니실 경우에는 인텔이 아니라 Atheros 것으로 설치해야 되는지도 모르겠네요.

 

16번은 터치패드입니다. 3DP에서 찾을 수 없는 드라이버입니다. 터치패드는 윈도우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기능들 때문에 드라이버를 설치하시는데요. 혹시나 터치패드를 켜고 끄는 기능을 위해서 설치하셨다면 패스하셔도 됩니다. 나중에 유틸에서 지원합니다.

 

17번은 비추천입니다. 칩셋관련이라고 꼭 설치하라고 빨간글씨로 되어있는데요. 제가 볼때는 그냥 SONY숙주를 만드는 드라이버인 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설치하고 난뒤부터 계속 정품 베터리가 아니라는 어의없는 경고문구가 계속 떠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없는 지경에 까지 갔습니다. 설치하지 않은 지금은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18번은 지문인식기능인데요. SVS13의 스펙에는 없는 것으로 아는데 다른 모델에는 있는가 봅니다. 지문인식 비밀번호를 사용하시려는 분은 홈페이지 파일에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유틸입니다.

다 쓰레기이지만, 핫키 유틸리티는 설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2번 소니 쉐어 라이브러리를 설치하지 않으면 위 드라이버17번과 같이 베터리 경고문구가 계속 뜬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혹시 모르는 오류의 방지를 위해서 2번 설치 후에 3번 핫키 유틸리티를 설치하세요. Fn키(펑션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스테미나와 스피드 모드를 전환하는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디아블로3 최상옵에서 실험을 해본 결과 스테미나로 바꾸면 화면이 심하게 끊기고 스피드 모드로 바꾸면 2초내로 부드러워지는 결과를 보았습니다. 그리고 VAIO컨트롤센터라는 것이 같이 설치되는데, 여기서 키보드의 백라이트 조정이라든지 전원관리, 앞서 말씀드렸던 xLOUD, CLEAR PHASE, DOLBY등의 소리효과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이것이 뭐하는 것인지 아시는 분만 설치하시면 되겠네요~ ㅋ

 

이제 서비스로, 제가 사용하는 Windows7 서비스 최적화 목록입니다.

아래의 목록은 저의 개인적인 노하우에 불과하며 여러분들의 취향과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행에서 msconfig를 실행한 뒤에 서비스에서 아래의 목록들을 체크 해제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인텔 그래픽 드라이버와 엔비디아 그래픽 드라이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및 트레이 아이콘을 없애면 스테미나와 스피드 모드를 전환하는데 영향을 끼치지 않을지 걱정하신다면 전혀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http://cafe.naver.com/notevaio/501014?viewType=pc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 에서 윈도우 xp 의 빠른실행 기능을 이용하자  (0) 2014.02.21
노트북을 무선 AP 로 만드는 방법!  (0) 2013.10.26
SVS13A26PK/B 윈도우7 다운그레이드 적용법  (0) 2013.10.25
드라이브 숨기기 / 제거 / 복구  (0) 2013.10.18
빠른 부팅을 위한 바이오스 설정법  (0) 2013.10.18
윈도우7 대용량 파일 복사 속도 높이기  (0) 2013.10.10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Tag Computer Tip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 «
  • 1
  • 2
  • »

카테고리

  • 살다보니.. (414)
    • 주절거림 (3)
    • 취미생활 (36)
      • 지식과 지혜 (3)
      • 풍경이 되어 (4)
      • Memories (17)
      • 엥겔지수를 높여라 (2)
    • mathematics (6)
      • Matrix Computation (2)
      • RandomProcesses (3)
    • English.. (8)
    • Programming (134)
      • C, C++, MFC (51)
      • C# (1)
      • OpenCV (17)
      • Python (47)
      • Git, Docker (3)
      • Matlab (4)
      • Windows (3)
      • Kinect V2 (2)
      • 기타 etc. (6)
    • 전공관련 (73)
      • Algorithm (6)
      • Deep Learning (49)
      • 실습 프로그램 (4)
      • 주워들은 용어정리 (8)
      • 기타 etc. (6)
    • Computer (104)
      • Utility (21)
      • Windows (24)
      • Ubuntu, Linux (55)
      • NAS (2)
      • Embedded, Mobile (2)
    • IT, Device (41)
      • 제품 사용기, 개봉기 (14)
      • 스마트 체험단 신청 (27)
    • Wish List (3)
    • TISTORY TIP (5)
    • 미분류. 수정중 (1)

태그목록

  • 오봉자싸롱
  • 일본
  • 에누리닷컴
  • 후쿠오카
  • 크롬
  • LIBSVM
  • matlab function
  • 딥러닝
  • ReadString
  • portugal
  • 매트랩
  • DeepLearning
  • 큐슈
  • 칼로리 대폭발
  • 스마트체험단
  • CStdioFile
  • review
  • SVM
  • Computer Tip
  • DSLR
  • random variable
  • 갤럭시노트3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
  • 포르투갈
  • ColorMeRad
  • utility
  • matlab
  • 매트랩 함수
  • function

달력

«   2022/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05-20 06:34

LATEST FROM OUR BLOG

  • 골뱅이 연산자의 의미 (행렬곱)..
  • 프린터 용지 부족 문제를 해⋯.
  • [MXNet] 데이터 리스트를 만⋯.
  • 예쁘게 출력하자 pprint - pr⋯.
  • 작업표시줄 미리보기를 리스⋯.
  • 이미지 실제 파일 포맷 확인하기.
  • 알리 등 해외배송 배송상태를⋯.
  • 티스토리 코드블럭 내용을 복⋯.
  • warning 을 on/off 하자.
  • windows 10 파일 선택, 파일⋯.
RSS 구독하기

BLOG VISITORS

  • Total : 1,114,475
  • Today : 37
  • Yesterday : 672

Copyright © 201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