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story
    • 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Carousel 01
Carousel 02
Previous Next

'Computer/Ubuntu, Linux'에 해당되는 글 55건

  • 2021.06.29 시스템 모니터링 유틸리티 - htop
  • 2021.06.24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20.04.x 버전 대응)
  • 2021.06.21 Ubuntu에서 파일시스템이 HDD인지 SSD 인지 확인하자
  • 2021.01.28 ubuntu 18.04 + Nvidia driver418 + Cuda10.0 환경셋팅
  • 2020.11.26 원격접속을 위해 SSH 설정을 해보자
  • 2020.10.07 윈도우에서 작성된 스크립트가 에러를 발생할때 해결하자
  • 2020.09.11 터미널에서 절대경로를 확인하자
  • 2020.07.29 ubuntu 18.04에 arc-dark theme를 설치하자
  • 2020.07.27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18.04.x 버전 대응) (1)
  • 2020.07.27 apt 저장소를 변경하자
  • 2020.07.24 ubuntu에서 nvidia driver가 목록에 뜨지 않을때
  • 2020.07.24 ubuntu 18.04.3 에서 xrdp가 정상 접속되지 않을 때 (1)
  • 2020.01.04 우분투 로그인 후 키보드/마우스가 먹통일 때 해결하자
  • 2019.09.23 CUDA 설치시 발생한 GPG key 관련 에러를 해결하자
  • 2019.08.14 ubuntu 에서 웹캠으로부터 캡쳐가 실패 할 경우 (3)
  • 2019.04.01 현재 위치에서 파일 개수 및 폴더개수 확인하자
  • 2018.10.23 Ubuntu에 notepad++를 설치하고 사용하자 (2)
  • 2018.10.22 Linux 환경에서 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자
  • 2018.10.18 폴더 내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자
  • 2018.10.17 특정 폴더 이하 파일 개수 카운팅하기

시스템 모니터링 유틸리티 - htop

Computer/Ubuntu, Linux 2021. 6. 29. 11:18




우분투에서 기본적으로 시스템 모니터링 툴로 top 이 있다.

다만 이 녀석은 텍스트로만 정보를 출력하여 직관적이지 못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유틸리티로 htop 이 있다.


 

# 설치
$ sudo apt install htop

# 실행
$ htop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모니터링 유틸리티 - htop  (0) 2021.06.29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20.04.x 버전 대응)  (0) 2021.06.24
Ubuntu에서 파일시스템이 HDD인지 SSD 인지 확인하자  (0) 2021.06.21
ubuntu 18.04 + Nvidia driver418 + Cuda10.0 환경셋팅  (0) 2021.01.28
원격접속을 위해 SSH 설정을 해보자  (0) 2020.11.26
윈도우에서 작성된 스크립트가 에러를 발생할때 해결하자  (0) 2020.10.07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20.04.x 버전 대응)

Computer/Ubuntu, Linux 2021. 6. 24. 10:31




xrdp 접속을 위한 방법은 LTS 버전 나올떄마다 새로 업데이트 하게 되는것 같네..

https://jangjy.tistory.com/370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18.04.x 버전 대응)

이전에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 제어 방법을 정리 한 적이 있었다. UBUNTU PC를 원격으로 제어하자 Ubuntu PC를 원격으로 제어하자 PC를 원격으로 제어 해야 할 경우가 있는데 이럴경우 teamviewer나

jangjy.tistory.com

 


1. xrdp 설치

# xrdp 설치
$ sudo apt-get install xrdp

$ sudo apt-get update

# desktop environment 설치
# 여기는 확인필요. 설치 중 오류 나서 건너뜀..
$ sudo apt-get install mate-core mate-desktop-environment mate-notification-daemon

 

2. xrdp 사용자 ssl-cert 그룹에 추가하기

# 사용자 그룹에 추가
$ sudo adduser xrdp ssl-cert

 

3. (optional, 접속시 검은 화면 발생하는 현상 예방용) startwm.sh 파일 수정

# xrdp/startwm.sh 파일 수정
$ sudo vim /etc/xrdp/startwm.sh

## startwm.sh
# Xsession 테스트 하는 라인 앞에 unset 추가해주기
  ~~~~
  fi

  fi test -r /etx/profile; then
          . /etc/profile
  fi

  unset DBUS_SESSION_BUS_ADDRESS		# 추가
  unset XDG_RUNTIME_DIR				# 추가

  test -x /tec/X11/Xsession && /etc/X11/Xsession
  ~~~~~~~
# 저장 후 파일 닫기

# xrdp 재시작
$ service xrdp restart

 

4. (공유기 사용시) 포트포워딩

(정리는 iptime 공유기 기준. 타사 공유기도 동일한 기능을 찾아 적용하면 됨.)

 

3.1 우선 내부 ip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 

고급설정 - 내부네트워크설정 - 수동 IP 할당설정 에서 현재 사용중인 IP를 추가하여 고정.

 

3.2 tcp 포트 추가

NAT/라우터관리 - 포트포워드설정 에서 포트포워드 규칙을 추가 해 준다.

ssh를 위해 프로토콜은 tcp, 내외부 포트는 22, 내부IP는 현재 접속중인IP로 추가

원격접속을 위해 프로토콜은 tcp, 내외부 포트는 임의의값(기본은 3389), 내부IP는 현재 접속중인IP로 추가

 

3.3 (2.2.2에서 원격접속 포트를 3389외 다른 값을 이용한 경우) xrdp 설정변경

$ sudo vim /etc/xrdp/xrdp.ini 

[globals]의 port=3389 이 부분을 2.2.2에서 설정한 포트 값으로 변경후 저장

$ service xrdp restart

 

5. 방화벽 규칙 추가

$ sudo ufw allow (2.2.2에서 설정한 포트번호)/tcp

(예 : sudo ufw allow 3008/tcp )

 

6. windows에서 접속

원격데스크톱 앱을 열고 IP 및 포트를 입력 

이 경우 IP는 공유기로 입력되는 실제 IP. 유동IP라면 DDNS 필요.

( 예 : 128.XXX.XXX.XXX:3008 )

session은 Xorg로 설정하고 Ubuntu에서 사용하는 username과 password 입력하면 접속 성공.

 

5.1 session 처음 시작시 인증 관련 창이 계속 뜰 경우

처음 접속시 인증 관련 창이 계속 뜨는데 설정한 암호를 입력해도 계속 같은 창만 뜨는경우에는

color profile 등의 권한 문제인데 그냥 취소 취소 해서 넘어가면 된다.

color profile 등 설정은 귀찮으니 이후 테마를 설치하여 더 보기좋게 수정하자. 

링크 : ubuntu 18.04에 arc-dark theme를 설치하자



출처: https://jangjy.tistory.com/370 [살다보니..]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모니터링 유틸리티 - htop  (0) 2021.06.29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20.04.x 버전 대응)  (0) 2021.06.24
Ubuntu에서 파일시스템이 HDD인지 SSD 인지 확인하자  (0) 2021.06.21
ubuntu 18.04 + Nvidia driver418 + Cuda10.0 환경셋팅  (0) 2021.01.28
원격접속을 위해 SSH 설정을 해보자  (0) 2020.11.26
윈도우에서 작성된 스크립트가 에러를 발생할때 해결하자  (0) 2020.10.07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Ubuntu에서 파일시스템이 HDD인지 SSD 인지 확인하자

Computer/Ubuntu, Linux 2021. 6. 21. 10:47




우분투를 사용하던 도중 설치되어있는 하드웨어 저장장치가 HDD인지 SSD 인지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드라이브가 몇개 안되거나 근처에 있다면 그냥 눈으로 확인 할 수도 있겠지만

연결된 드라이브가 많아서 어떤게 어느 파일시스템으로 잡혀있는지 모르거나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상에서 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

 

간단한 터미널 명령어로 파일시스템 확인을 위한 방법 정리.


>> lsblk -d -o name,rota

# 출력결과
# ROTA 값이 0이면 SSD, 1이면 HDD를 의미한다.
NAME	ROTA
sda	0
sdb	0
sdc	1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모니터링 유틸리티 - htop  (0) 2021.06.29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20.04.x 버전 대응)  (0) 2021.06.24
Ubuntu에서 파일시스템이 HDD인지 SSD 인지 확인하자  (0) 2021.06.21
ubuntu 18.04 + Nvidia driver418 + Cuda10.0 환경셋팅  (0) 2021.01.28
원격접속을 위해 SSH 설정을 해보자  (0) 2020.11.26
윈도우에서 작성된 스크립트가 에러를 발생할때 해결하자  (0) 2020.10.07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ubuntu 18.04 + Nvidia driver418 + Cuda10.0 환경셋팅

Computer/Ubuntu, Linux 2021. 1. 28. 10:59




최신 그래픽 카드를 쓰면 CUDA 버전이 11 이상으로 올라가겠지만

필요에 따라 CUDA 10.0 환경 세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런저런 방법들이 인터넷에 있지만 예전에는 쉽게 됐던 방법도

버전이 바뀌고 환경이 바뀌고 하다보니 꼬이고 잘 설치가 안되고 하는 경우가 자주 보인다.

 

그래서 고생하다 성공한 ubuntu 18.04 + Nvidia driver418 + Cuda10.0 환경셋팅 방법 기록.

 

(추가) ubuntu 18.04.3 버전 이후로는 커널 버전이 달라 nvidia driver와 문제가 있을수도 있다는 내용을 확인

문제가 심할 경우 ubuntu 18.04LTS 버전으로 설치하여 진행 해 보자..

 


1. 기존 CUDA 제거

sudo apt-get purge nvidia* && sudo apt-get autoremove && sudo apt-get autoclean && sudo rm -rf /usr/local/cuda*
sudo reboot

 

2. NVIDIA repository 추가

wget https://developer.download.nvidia.com/compute/cuda/repos/ubuntu1804/x86_64/cuda-repo-ubuntu1804_10.0.130-1_amd64.deb

sudo dpkg -i cuda-repo-ubuntu1804_10.0.130-1_amd64.deb
sudo apt-key adv --fetch-keys https://developer.download.nvidia.com/compute/cuda/repos/ubuntu1804/x86_64/7fa2af80.pub
sudo apt-get update

wget http://developer.download.nvidia.com/compute/machine-learning/repos/ubuntu1804/x86_64/nvidia-machine-learning-repo-ubuntu1804_1.0.0-1_amd64.deb
sudo apt install ./nvidia-machine-learning-repo-ubuntu1804_1.0.0-1_amd64.deb
sudo apt-get update

 

3. NVIDIA driver 설치

sudo apt-get install --no-install-recommends nvidia-driver-418

sudo reboot

 

4. CUDA & CuDNN 설치

sudo apt-get install --no-install-recommends cuda-10-0 libcudnn7=7.6.2.24-1+cuda10.0 libcudnn7-dev=7.6.2.24-1+cuda10.0

 

5. TensorRT 설치 (Optional)

sudo apt-get install -y --no-install-recommends libnvinfer5=5.1.5-1+cuda10.0 libnvinfer-dev=5.1.5-1+cuda10.0

 

 

 

출처 : teddylee777.github.io/linux/CUDA-%EC%9D%B4%EC%A0%84%EB%B2%84%EC%A0%84-%EC%82%AD%EC%A0%9C%ED%9B%84-%EC%9E%AC%EC%84%A4%EC%B9%98%ED%95%98%EA%B8%B0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20.04.x 버전 대응)  (0) 2021.06.24
Ubuntu에서 파일시스템이 HDD인지 SSD 인지 확인하자  (0) 2021.06.21
ubuntu 18.04 + Nvidia driver418 + Cuda10.0 환경셋팅  (0) 2021.01.28
원격접속을 위해 SSH 설정을 해보자  (0) 2020.11.26
윈도우에서 작성된 스크립트가 에러를 발생할때 해결하자  (0) 2020.10.07
터미널에서 절대경로를 확인하자  (0) 2020.09.11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원격접속을 위해 SSH 설정을 해보자

Computer/Ubuntu, Linux 2020. 11. 26. 10:20




ubuntu 원격 접속을 위해 xRDP 기반의 원격접속을 이용하고 있었다.

Link :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18.04.x 버전 대응)

이 방법 말고도 ssh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방법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서 추가로 정리.

 


1. openssh 설치

# openssh-server 설치
$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2. port 설정 및 방화벽 허용규칙 추가 (optional)

# 기본 포트는 22
# 보안을 위해 포트 변경

$ sudo vim /etc/ssh/sshd_config

# sshd_config 내 PORT 22 부분 주석 해제하고 포트 변경
PORT 3080

# x11 그래픽 전송을 위한설정. 기본으로 활성화 되어있음. 확인필요
X11Forwarding yes

# 저장 후 종료

 

3. 서비스 재시작

# ssh 서비스 재시작
$ sudo service ssh restart

 

 

여기까지 설정하면 다른 pc에서 ssh 를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에서 파일시스템이 HDD인지 SSD 인지 확인하자  (0) 2021.06.21
ubuntu 18.04 + Nvidia driver418 + Cuda10.0 환경셋팅  (0) 2021.01.28
원격접속을 위해 SSH 설정을 해보자  (0) 2020.11.26
윈도우에서 작성된 스크립트가 에러를 발생할때 해결하자  (0) 2020.10.07
터미널에서 절대경로를 확인하자  (0) 2020.09.11
ubuntu 18.04에 arc-dark theme를 설치하자  (0) 2020.07.29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윈도우에서 작성된 스크립트가 에러를 발생할때 해결하자

Computer/Ubuntu, Linux 2020. 10. 7. 10:10




윈도우에서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리눅스에서 실행 할 경우 개행문자 관련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r': command not found )

 

이는 개행 문자 표현의 차이로 인한 문제로 윈도우에서는 CR과 LF를 같이 사용하는데 반해

리눅스에서는 LF만 사용하기 떄문에 EOL 처리가 다르다.

 

리눅스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라인 끝의 \r 을 제거 해 주면 되고 이는 sed 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처리 가능하다.

 


# windows -> linux
$ sed -i -e 's/\r$//' file.sh

# linex -> windows
$ sed -i -e 's/$/\r/' file.sh

 

 

참고 : www.snoopybox.co.kr/1613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8.04 + Nvidia driver418 + Cuda10.0 환경셋팅  (0) 2021.01.28
원격접속을 위해 SSH 설정을 해보자  (0) 2020.11.26
윈도우에서 작성된 스크립트가 에러를 발생할때 해결하자  (0) 2020.10.07
터미널에서 절대경로를 확인하자  (0) 2020.09.11
ubuntu 18.04에 arc-dark theme를 설치하자  (0) 2020.07.29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18.04.x 버전 대응)  (1) 2020.07.27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터미널에서 절대경로를 확인하자

Computer/Ubuntu, Linux 2020. 9. 11. 07:46




간혹 터미널상에서 현재 위치의 절대경로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럴경우 현재 위치의 절대경로를 반환해주는 명령어.

 

자주 쓸 일은 없지만 가끔 필요한 경우가 있어서 기록해 두자.

 


$ pwd
# 현재 위치의 절대경로를 반환한다.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접속을 위해 SSH 설정을 해보자  (0) 2020.11.26
윈도우에서 작성된 스크립트가 에러를 발생할때 해결하자  (0) 2020.10.07
터미널에서 절대경로를 확인하자  (0) 2020.09.11
ubuntu 18.04에 arc-dark theme를 설치하자  (0) 2020.07.29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18.04.x 버전 대응)  (1) 2020.07.27
apt 저장소를 변경하자  (0) 2020.07.27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ubuntu 18.04에 arc-dark theme를 설치하자

Computer/Ubuntu, Linux 2020. 7. 29. 08:32




다양한 테마들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맘에 드는 테마 사용 방법을 기록

 


 

1. gnome-tweak-tool 설치

sudo apt-get install gnome-tweak-tool

 

2. repository 추가

# 테마
sudo add-apt-repository ppa:noobslab/themes

# 아이콘
sudo add-apt-repository ppa:noobslab/icons

sudo apt-get update

 

3. theme / icon 설치

# 테마
sudo apt-get install arc-theme

# 아이콘
sudo apt-get install arc-icons

 

4. 적용

Tweaks 앱에서 arc theme / icon 적용. 끝.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에서 작성된 스크립트가 에러를 발생할때 해결하자  (0) 2020.10.07
터미널에서 절대경로를 확인하자  (0) 2020.09.11
ubuntu 18.04에 arc-dark theme를 설치하자  (0) 2020.07.29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18.04.x 버전 대응)  (1) 2020.07.27
apt 저장소를 변경하자  (0) 2020.07.27
ubuntu에서 nvidia driver가 목록에 뜨지 않을때  (0) 2020.07.24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18.04.x 버전 대응)

Computer/Ubuntu, Linux 2020. 7. 27. 09:12




이전에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 제어 방법을 정리 한 적이 있었다.

UBUNTU PC를 원격으로 제어하자

 

Ubuntu PC를 원격으로 제어하자

PC를 원격으로 제어 해야 할 경우가 있는데 이럴경우 teamviewer나 크롬 원격 데스크탑을 이용하면 좋을텐데. 위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못할 경우 windows의 기본 내장 프로그램인 원격 데스크�

jangjy.tistory.com

 

우분투 18.04.3. 버전으로 새로 설치 한 후 이 방법대로 설정하니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인터넷을 뒤져보니 다양한 방법들이 있는데 내가 적용한 꼭 필요한 요소들만 다시 정리..

 


1. xrdp 설치

# xrdp 설치
$ sudo apt-get install xrdp

$ sudo apt-get update

# desktop environment 설치
$ sudo apt-get install mate-core mate-desktop-environment mate-notification-daemon

# 이제는 startwm 파일 수정 안해도 되는것 같음.

 

2. xorg 설치

# xorg hwe 설치
sudo apt-get intall xorgxrdp-hwe-18.04 

 

3. (공유기 사용시) 포트포워딩

(정리는 iptime 공유기 기준. 타사 공유기도 동일한 기능을 찾아 적용하면 됨.)

 

3.1 우선 내부 ip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 

고급설정 - 내부네트워크설정 - 수동 IP 할당설정 에서 현재 사용중인 IP를 추가하여 고정.

 

3.2 tcp 포트 추가

NAT/라우터관리 - 포트포워드설정 에서 포트포워드 규칙을 추가 해 준다.

ssh를 위해 프로토콜은 tcp, 내외부 포트는 22, 내부IP는 현재 접속중인IP로 추가

원격접속을 위해 프로토콜은 tcp, 내외부 포트는 임의의값(기본은 3389), 내부IP는 현재 접속중인IP로 추가

 

3.3 (2.2.2에서 원격접속 포트를 3389외 다른 값을 이용한 경우) xrdp 설정변경

$ sudo vim /etc/xrdp/xrdp.ini 

[globals]의 port=3389 이 부분을 2.2.2에서 설정한 포트 값으로 변경후 저장

$ service xrdp restart

 

4. 방화벽 규칙 추가

$ sudo ufw allow (2.2.2에서 설정한 포트번호)/tcp

(예 : sudo ufw allow 3008/tcp )

 

5. windows에서 접속

원격데스크톱 앱을 열고 IP 및 포트를 입력 

이 경우 IP는 공유기로 입력되는 실제 IP. 유동IP라면 DDNS 필요.

( 예 : 128.XXX.XXX.XXX:3008 )

session은 Xorg로 설정하고 Ubuntu에서 사용하는 username과 password 입력하면 접속 성공.

 

5.1 session 처음 시작시 인증 관련 창이 계속 뜰 경우

처음 접속시 인증 관련 창이 계속 뜨는데 설정한 암호를 입력해도 계속 같은 창만 뜨는경우에는

color profile 등의 권한 문제인데 그냥 취소 취소 해서 넘어가면 된다.

color profile 등 설정은 귀찮으니 이후 테마를 설치하여 더 보기좋게 수정하자. 

링크 : ubuntu 18.04에 arc-dark theme를 설치하자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미널에서 절대경로를 확인하자  (0) 2020.09.11
ubuntu 18.04에 arc-dark theme를 설치하자  (0) 2020.07.29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18.04.x 버전 대응)  (1) 2020.07.27
apt 저장소를 변경하자  (0) 2020.07.27
ubuntu에서 nvidia driver가 목록에 뜨지 않을때  (0) 2020.07.24
ubuntu 18.04.3 에서 xrdp가 정상 접속되지 않을 때  (1) 2020.07.24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1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 이응이응 2021.01.11 15:2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잘 보고 갑니다 ~_~

apt 저장소를 변경하자

Computer/Ubuntu, Linux 2020. 7. 27. 09:01




 

ubuntu 설치 후 apt 소스 저장소에서 설치해야 할 것들이 많이 있다.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으면 기본 우분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게 되는데

이 경우 상황에 따라 속도가 느린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ubuntu를 설치 하고 난 뒤 apt 소스 경로를 국내 카카오 미러 서버로 변경하고 사용하자.


 

sudo sed -i 's/kr.archive.ubuntu.com/mirror.kakao.com/g' /etc/apt/sources.list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8.04에 arc-dark theme를 설치하자  (0) 2020.07.29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18.04.x 버전 대응)  (1) 2020.07.27
apt 저장소를 변경하자  (0) 2020.07.27
ubuntu에서 nvidia driver가 목록에 뜨지 않을때  (0) 2020.07.24
ubuntu 18.04.3 에서 xrdp가 정상 접속되지 않을 때  (1) 2020.07.24
우분투 로그인 후 키보드/마우스가 먹통일 때 해결하자  (0) 2020.01.04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ubuntu에서 nvidia driver가 목록에 뜨지 않을때

Computer/Ubuntu, Linux 2020. 7. 24. 15:32




ubuntu 버전에 따라 nvidia driver 가 목록에 안뜨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사용하는 cuda 버전에 따라 nvidia driver도 버전을 맞춰야 하는데 목록에 안떠서 살짝 난감..

했었는데 ppa 추가하여 갱신하면 가능한 드라이버 목록이 업데이트 되는것을 확인.

 


1. repository 추가하여 목록 갱신하기

sudo add-apt-repository ppa:graphics-drivers/ppa
sudo apt-get update

 

2. 원하는 드라이버 버전으로 설치!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xrdp 를 이용한 우분투 원격제어 정리 (18.04.x 버전 대응)  (1) 2020.07.27
apt 저장소를 변경하자  (0) 2020.07.27
ubuntu에서 nvidia driver가 목록에 뜨지 않을때  (0) 2020.07.24
ubuntu 18.04.3 에서 xrdp가 정상 접속되지 않을 때  (1) 2020.07.24
우분투 로그인 후 키보드/마우스가 먹통일 때 해결하자  (0) 2020.01.04
CUDA 설치시 발생한 GPG key 관련 에러를 해결하자  (0) 2019.09.23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ubuntu 18.04.3 에서 xrdp가 정상 접속되지 않을 때

Computer/Ubuntu, Linux 2020. 7. 24. 11:16




ubuntu 버전을 18.04.3으로 올리고 기존과 동일하게 xrdp 설정하고 접속하니

빈 화면만 뜨고 정상적인 접근이 되지 않았다.

 

ubuntu 18.04.3 올라오면서 뭔가 접속방식이 바뀌어서 그렇다는거 같은데 아직 완변한 해결은 못한상태.

 

일단 아래 방법을 적용하면 xorg 환경으로 접속은 가능 해 진다.

아직 확인해야 할 사항이 많이.. 남았다..

 


1. xorgxrdp-hwe 설치하기

sudo apt-get install xorgxrdp-hwe-18.04

 

2. 재부팅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t 저장소를 변경하자  (0) 2020.07.27
ubuntu에서 nvidia driver가 목록에 뜨지 않을때  (0) 2020.07.24
ubuntu 18.04.3 에서 xrdp가 정상 접속되지 않을 때  (1) 2020.07.24
우분투 로그인 후 키보드/마우스가 먹통일 때 해결하자  (0) 2020.01.04
CUDA 설치시 발생한 GPG key 관련 에러를 해결하자  (0) 2019.09.23
ubuntu 에서 웹캠으로부터 캡쳐가 실패 할 경우  (3) 2019.08.14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1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 이응이응 2021.01.11 15:21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잘 보고 갑니다 ~_~

우분투 로그인 후 키보드/마우스가 먹통일 때 해결하자

Computer/Ubuntu, Linux 2020. 1. 4. 15:20




ubuntu 18.04를 설치 한 후 로그인 화면까지는 키보드/마우스가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는데

로그인만 하면 먹통이 되는 현상이 발생.

 

시간은 잘 바뀌는거 봐서 OS가 먹통은 아닌데 입력이 하나도 안먹는다.

혹시 몰라 다른 유선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로 확인해도 동일한 증상.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정리

 


1. 로그인 화면에서 Ctrl + Alt + F1(~F6 중 하나)를 눌러서 tty 상태로 진입

 

2.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 입력하여 로그인

 

3. $ sudo apt-get install xserver-xorg-input-all

 

4. $ startx

 


위 방법으로 키보드 마우스 활성화 가능.

 

단, 일부 케이스에서는 4번 이후 로그인창에서 무한 로그인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서

아예 sudo reboot으로 재부팅 후 사용하는게 나은것 같다.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에서 nvidia driver가 목록에 뜨지 않을때  (0) 2020.07.24
ubuntu 18.04.3 에서 xrdp가 정상 접속되지 않을 때  (1) 2020.07.24
우분투 로그인 후 키보드/마우스가 먹통일 때 해결하자  (0) 2020.01.04
CUDA 설치시 발생한 GPG key 관련 에러를 해결하자  (0) 2019.09.23
ubuntu 에서 웹캠으로부터 캡쳐가 실패 할 경우  (3) 2019.08.14
현재 위치에서 파일 개수 및 폴더개수 확인하자  (0) 2019.04.01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CUDA 설치시 발생한 GPG key 관련 에러를 해결하자

Computer/Ubuntu, Linux 2019. 9. 23. 11:28




 

UBUNTU에 CUDA 설치하기.

 

Ubuntu에 CUDA 설치하기.

이전글 - Ubuntu에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하기. 머신러닝 공부하려고 우분투 깔았으면 이제 쿠다를 설치 해야지. 이런저런 방법들이 소개 되어 있지만 가장 간단한 설치 성공한 방법으로 정리 해두자. =====..

jangjy.tistory.com

위 글과 같은 방법으로 cuda를 설치하려 하는데 뜬금없이 "the public cuda gpg key does not appear to be installed" 에러가 발생하며 dpkg가 안되는 상황.

 


이럴 경우 아래와 같이 key를 add 해 주면 해결 가능하다.

$ sudo apt-key add /var/cuda-repo-<version>/7fa2af80.pub
저작자표시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8.04.3 에서 xrdp가 정상 접속되지 않을 때  (1) 2020.07.24
우분투 로그인 후 키보드/마우스가 먹통일 때 해결하자  (0) 2020.01.04
CUDA 설치시 발생한 GPG key 관련 에러를 해결하자  (0) 2019.09.23
ubuntu 에서 웹캠으로부터 캡쳐가 실패 할 경우  (3) 2019.08.14
현재 위치에서 파일 개수 및 폴더개수 확인하자  (0) 2019.04.01
Ubuntu에 notepad++를 설치하고 사용하자  (2) 2018.10.23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ubuntu 에서 웹캠으로부터 캡쳐가 실패 할 경우

Computer/Ubuntu, Linux 2019. 8. 14. 11:19




업무 특성상 웹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리눅스에서 웹캠을 불러서 사용하려 했는데 정상적으로 캡쳐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권한 문제일 가능성이 있다.

권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정리.

 

1. 권한 상황 확인

    $ ls -alF /dev/video*

    > crw-rw----+ 1 root video 81, 0 8월 14 11:04 /dev/video0

 

2. 위와 같은 형태로 출력이 나온다면 권한이 없는 상황. 아래 명령어로 권한을 설정

    $ sudo chmod 666 /dev/video0

 

3. 2번을 수행하면 권한이 변경되고 정상적으로 접근이 가능해 진다.

    $ ls -alF /dev/video*

    > crw-rw-rw-+ 1 root video 81, 0 8월 14 11:04 /dev/video0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로그인 후 키보드/마우스가 먹통일 때 해결하자  (0) 2020.01.04
CUDA 설치시 발생한 GPG key 관련 에러를 해결하자  (0) 2019.09.23
ubuntu 에서 웹캠으로부터 캡쳐가 실패 할 경우  (3) 2019.08.14
현재 위치에서 파일 개수 및 폴더개수 확인하자  (0) 2019.04.01
Ubuntu에 notepad++를 설치하고 사용하자  (2) 2018.10.23
Linux 환경에서 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자  (0) 2018.10.22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3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 김지훈 2020.03.24 18:3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ls -alF /dev/video* 명령에를 쳤을 때 no such file or directory 가 뜨면 어떻게 하나요????
    원래는 이 명령어가 됐다가 제가 rule.swp 파일 잘못 만든거 삭제하고 나니 이렇게 뜨네요 제발 부탁드립니다.

    • 매직블럭 2020.03.26 12:36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음 그 부분은 저도 정확히 모르겠네요.. 하드웨어가 안잡혀서 안뜨는 상황일수도 있으니 이 부분도 같이 확인 해보시면 좋을것 같네요.

    • 김지훈 2020.04.02 12:23  댓글주소  수정/삭제

      아 해결 했습니다. 카메라 영상 rqt에서 잘 받아지는데 해상도가 너무 떨어집니다. 혹시 설정법을 알고 계신가요?
      카메라가 지원한는 해상도는 1080인데 rqt로 받으면 400도 못미치는 수치로 나와요
      (카메라는 1080으로 잘 작동 합니다)

현재 위치에서 파일 개수 및 폴더개수 확인하자

Computer/Ubuntu, Linux 2019. 4. 1. 09:16




* 현재 위치에서 폴더 개수 확인하기

$  ls -l | grep ^d | wc -l

 

* 현재 위치에서 파일 개수 확인하기

$ ls -l | grep ^- | wc -l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DA 설치시 발생한 GPG key 관련 에러를 해결하자  (0) 2019.09.23
ubuntu 에서 웹캠으로부터 캡쳐가 실패 할 경우  (3) 2019.08.14
현재 위치에서 파일 개수 및 폴더개수 확인하자  (0) 2019.04.01
Ubuntu에 notepad++를 설치하고 사용하자  (2) 2018.10.23
Linux 환경에서 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자  (0) 2018.10.22
폴더 내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자  (0) 2018.10.18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Ubuntu에 notepad++를 설치하고 사용하자

Computer/Ubuntu, Linux 2018. 10. 23. 10:41




가벼운 텍스트 편집기 중에 notepad++이 나한테는 가장 사용하기 편해서 애용하는 편


우분투 환경에서도 notepad++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정리



1. snap 설치

$ sudo apt-get install snapd snapd-xdg-open -y


2. notepad++ 설치

$ sudo snap install notepad-plus-plus

$ sudo snap connect notepad-plus-plus:process-control


3. 재부팅

$ sudo reboot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에서 웹캠으로부터 캡쳐가 실패 할 경우  (3) 2019.08.14
현재 위치에서 파일 개수 및 폴더개수 확인하자  (0) 2019.04.01
Ubuntu에 notepad++를 설치하고 사용하자  (2) 2018.10.23
Linux 환경에서 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자  (0) 2018.10.22
폴더 내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자  (0) 2018.10.18
특정 폴더 이하 파일 개수 카운팅하기  (0) 2018.10.17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2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 익명 2019.10.21 08:47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비밀댓글입니다

    • 매직블럭 2019.10.21 18:03 신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네 snap 은 BSD / notepad++ 은 GPL 라이센스로 모두 사용에 문제가 없습니다.

Linux 환경에서 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자

Computer/Ubuntu, Linux 2018. 10. 22. 16:15




일반적으로 GUI 환경에서 압축풀기를 해도 되지만 그 경우 압축 해제 속도가 이상하게 느려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파일이 꽤나 많을 경우에는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이용한 압축 해제가 좋다.


리눅스에서 zip 파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unzip 패키지를 이용한다.


1. unzip 패키지 설치


$ apt-get install unzip


2. 압축풀기


# 단순 압축 해제

$ unzip example.zip           

# 경로 설정하여 압축 해제

$ unzip example.zip -d ./example_folder


3. 압축하기

# 대상 폴더 압축

$ zip example.zip ./*

# 대상 폴더 및 하위폴더 포함하여 압축

$ zip -r example.zip ./*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위치에서 파일 개수 및 폴더개수 확인하자  (0) 2019.04.01
Ubuntu에 notepad++를 설치하고 사용하자  (2) 2018.10.23
Linux 환경에서 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자  (0) 2018.10.22
폴더 내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자  (0) 2018.10.18
특정 폴더 이하 파일 개수 카운팅하기  (0) 2018.10.17
폴더 내 특정 확장자를 가진 파일만 한번에 이동/복사하기  (0) 2018.10.17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폴더 내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자

Computer/Ubuntu, Linux 2018. 10. 18. 09:24




윈도우에서는 dir 관련 옵션을 이용하여 폴더 내 파일의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참고링크 : 폴더 내의 파일목록을 다뤄보자. 폴더 내 파일 리스트 만들기 )


리눅스에서는 ls 또는 find 명령어를 이용하여 폴더 내 파일을 확인 가능하다.

파일목록을 외부 파일에 쓰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 find (탐색할경로) -type f > list.txt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에 notepad++를 설치하고 사용하자  (2) 2018.10.23
Linux 환경에서 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자  (0) 2018.10.22
폴더 내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자  (0) 2018.10.18
특정 폴더 이하 파일 개수 카운팅하기  (0) 2018.10.17
폴더 내 특정 확장자를 가진 파일만 한번에 이동/복사하기  (0) 2018.10.17
NVIDIA NVML Driver/library version mismatch 해결방법  (2) 2018.05.31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특정 폴더 이하 파일 개수 카운팅하기

Computer/Ubuntu, Linux 2018. 10. 17. 18:30




1. 지정 폴더 이하

find /폴더/경로 -type f | wc -l



2. 현재 폴더 이하

find . -type f | wc -l



출처 : https://zetawiki.com/wiki/%EB%A6%AC%EB%88%85%EC%8A%A4_%ED%8A%B9%EC%A0%95_%ED%8F%B4%EB%8D%94_%EC%9D%B4%ED%95%98_%ED%8C%8C%EC%9D%BC_%EA%B0%9C%EC%88%98_%EC%84%B8%EA%B8%B0

저작자표시비영리

'Computer > Ubuntu,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환경에서 zip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자  (0) 2018.10.22
폴더 내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자  (0) 2018.10.18
특정 폴더 이하 파일 개수 카운팅하기  (0) 2018.10.17
폴더 내 특정 확장자를 가진 파일만 한번에 이동/복사하기  (0) 2018.10.17
NVIDIA NVML Driver/library version mismatch 해결방법  (2) 2018.05.31
Ubuntu PC를 원격으로 제어하자  (0) 2018.01.25
블로그 이미지

매직블럭

작은 지식들 그리고 기억 한조각

트랙백 0개,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 «
  • 1
  • 2
  • 3
  • »

카테고리

  • 살다보니.. (414)
    • 주절거림 (3)
    • 취미생활 (36)
      • 지식과 지혜 (3)
      • 풍경이 되어 (4)
      • Memories (17)
      • 엥겔지수를 높여라 (2)
    • mathematics (6)
      • Matrix Computation (2)
      • RandomProcesses (3)
    • English.. (8)
    • Programming (134)
      • C, C++, MFC (51)
      • C# (1)
      • OpenCV (17)
      • Python (47)
      • Git, Docker (3)
      • Matlab (4)
      • Windows (3)
      • Kinect V2 (2)
      • 기타 etc. (6)
    • 전공관련 (73)
      • Algorithm (6)
      • Deep Learning (49)
      • 실습 프로그램 (4)
      • 주워들은 용어정리 (8)
      • 기타 etc. (6)
    • Computer (104)
      • Utility (21)
      • Windows (24)
      • Ubuntu, Linux (55)
      • NAS (2)
      • Embedded, Mobile (2)
    • IT, Device (41)
      • 제품 사용기, 개봉기 (14)
      • 스마트 체험단 신청 (27)
    • Wish List (3)
    • TISTORY TIP (5)
    • 미분류. 수정중 (1)

태그목록

  • 오봉자싸롱
  • 일본
  • 에누리닷컴
  • 후쿠오카
  • 크롬
  • LIBSVM
  • matlab function
  • 딥러닝
  • ReadString
  • portugal
  • 매트랩
  • DeepLearning
  • 큐슈
  • 칼로리 대폭발
  • 스마트체험단
  • CStdioFile
  • review
  • SVM
  • Computer Tip
  • DSLR
  • random variable
  • 갤럭시노트3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Deep Learning
  • 포르투갈
  • ColorMeRad
  • utility
  • matlab
  • 매트랩 함수
  • function

달력

«   2022/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05-20 06:34

LATEST FROM OUR BLOG

  • 골뱅이 연산자의 의미 (행렬곱)..
  • 프린터 용지 부족 문제를 해⋯.
  • [MXNet] 데이터 리스트를 만⋯.
  • 예쁘게 출력하자 pprint - pr⋯.
  • 작업표시줄 미리보기를 리스⋯.
  • 이미지 실제 파일 포맷 확인하기.
  • 알리 등 해외배송 배송상태를⋯.
  • 티스토리 코드블럭 내용을 복⋯.
  • warning 을 on/off 하자.
  • windows 10 파일 선택, 파일⋯.
RSS 구독하기

BLOG VISITORS

  • Total : 1,114,475
  • Today : 37
  • Yesterday : 672

Copyright © 2015 Socialdev.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