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도 수식 계산을 위한 연산자들이 존재한다.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기본 수식 연산자는 아래의 7가지 이다.
- + : 두 수를 더한다
- - : 두 수를 뺀다
- * : 두 수를 곱한다
- / : 두 수를 나눈다
- // : 두 수를 나눠 몫을 출력한다
- % : 두 수를 나눠 나머지를 출력한다
- ** : 거듭제곱연산
결과를 확인 해 보자.
print "29 + 6 = ", 29 + 6
print "29 - 6 = ", 29 - 6
print "29 * 6 = ", 29 * 6
print "29 / 6 = ", 29 / 6
print "29 // 6 = ", 29 // 6
print "29 % 6 = ", 29 % 6
print "2^6 = ", 2 ** 6
위와 같이 작성하고 실행 해 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9 + 6 = 35
29 - 6 = 23
29 * 6 = 174
29 / 6 = 4
29 // 6 = 4
29 % 6 = 5
2^6 = 64
여기서 한가지 특이한 점은 29/6 의 결과에서 실수 연산이 아닌 정수연산을 한다는 점이다.
파이썬 2버전까지는 기본연산이 정수연산이고 3버전 이후로는 실수연산을 한다고 한다.
실수 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상단에
from __future__ import division
해당 구문을 추가 해 주면 된다.
다시 동일한 연산을 수행 해 보면
29 + 6 = 35
29 - 6 = 23
29 * 6 = 174
29 / 6 = 4.83333333333
29 // 6 = 4
29 % 6 = 5
2^6 = 64
아까의 연산과는 달리 29/6 의 연산이 실수형으로 계산 됨을 확인 할 수 있다.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사용 하자. (0) | 2016.06.08 |
---|---|
파이썬 문자열 개행문자 제거하기 (3) | 2016.06.03 |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이용하자 (0) | 2016.06.03 |
파이썬에서 변수를 이용하기. 자료형이 없어도 가능! (Variable) (0) | 2016.06.03 |
파이썬에서 한글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0) | 2016.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