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파일 입출력을 하거나 결과물을 출력할때 문자열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작은 따옴표('문자열' )나 큰따옴표("문자열")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둘 다 동일한 문자열로 인식하는 듯 하니 편한걸로 이용하면 되겠다.
MFC에서 사용하던 CString.format 이나 printf / sprintf 등에서 사용하던 문자열 포멧부터
문자열 분리하는 방법까지 간단한 사용법 정리.
# printf 와 같이 포멧 이용 문자열
sFormat = "%s의 가격은 %d원 입니다\n" % ("사과", 2000)
print sFormat
# 중괄호를 이용한 포멧이용
# .format을 이용하면 파라미터 처럼 이용 가능
sBracket = "{} {}".format('첫번째항목', 2)
print sBracket
# 중괄호 안에 숫자를 이용하면 format 안의 숫자번째 파라미터 이용
sBracket2 = "{0} {0} {2} {1}".format("첫번째항목", "두번째항목", "세번째항목")
print sBracket2
str = " ABCDEFG hijklm "
# 문자열 위치 찾기 find
print str.find("CDE")
# 좌우 공백 제거를 위한 strip / lstrip / rstrip
print str.strip()
# 문자열을 분리하는 split
sSplit = str.split(" ")
print sSplit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사용 하자. (0) | 2016.06.08 |
---|---|
파이썬 문자열 개행문자 제거하기 (3) | 2016.06.03 |
파이썬에서 변수를 이용하기. 자료형이 없어도 가능! (Variable) (0) | 2016.06.03 |
파이썬의 기본 수식 연산자 (0) | 2016.06.03 |
파이썬에서 한글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0) | 2016.06.02 |